학문의 자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문의 자유는 교사의 가르칠 권리와 학생의 학습 권리를 포함하며, 사회적, 정치적 비판에 참여할 권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는 정부의 간섭 없이 학문적 전문 지식과 지위에 따라 표현의 자유를 누리는 것을 의미하며, 동료 평가를 통해 품질 관리를 받는다. 학문의 자유는 지적 독립성을 보호하고, 기존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각 국가별로 학문의 자유에 대한 법적, 헌법적 보호가 다르며, 독일, 일본, 대한민국 등에서는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다. 학문의 자유 지수는 연구 및 교육의 자유, 학술 교류의 자유, 기관의 자율성 등을 평가하며,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권과 자유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민권과 자유권 - 인권 옹호자
인권 옹호자는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개인 또는 단체로서, 유엔 인권 옹호자 선언에 따라 보호받아야 하지만 협박, 체포, 살해 등의 위협에 직면하며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 자유 - 결사의 자유
결사의 자유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요소로서, 다양한 단체 결성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끌어내며, 국가별 헌법과 법률 해석에 따라 보장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며, 친밀한 결사, 표현적 결사, 조직 노동 등과 관련된 쟁점들이 존재한다. - 자유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학문의 자유 | |
---|---|
학문의 자유 | |
정의 | 학문 연구와 교육 활동에서 외부의 부당한 간섭이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권리. |
주요 내용 | 연구의 자유: 연구 주제, 방법, 결과 발표의 자유. 교육의 자유: 강의 내용, 교육 방법, 학생 평가의 자유. 표현의 자유: 학문적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자유. |
역사 | 중세 대학의 자율성에서 기원. 19세기 독일 대학에서 발전. 20세기 국제적으로 확산. |
보장 주체 | 대학교 및 고등 교육 기관. 교수 및 연구자. 학생. |
제한 요인 | 정치적 압력. 종교적 간섭. 상업적 이해관계. 사회적 편견. |
중요성 | 학문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 민주주의 사회의 필수 요소. |
학문 자유의 주요 측면 | |
연구 자유 | 연구 주제 선정, 연구 방법 결정, 결과 발표의 자유. |
교육 자유 |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학생 평가의 자유. |
표현 자유 | 학문적 의견 발표, 토론, 비판의 자유. |
학문 자유와 관련된 이슈 | |
정치적 간섭 | 정부나 정치 단체의 학문 활동에 대한 부당한 압력. |
상업적 간섭 | 기업이나 산업체의 연구 결과 조작 시도. |
사회적 압력 | 사회적 편견이나 금기로 인한 연구 제한. |
대학의 자율성 | 학문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대학의 독립성 확보. |
학문 자유 관련 국제 문서 | |
세계 인권 선언 | 제26조 교육받을 권리 관련 조항에 포함. |
유네스코 권고 | 고등 교육 기관의 학문 자유에 대한 권고. |
학문 자유와 관련된 법률 | |
대한민국 | 대한민국 헌법 제22조 제1항 (학문과 예술의 자유 보장). |
미국 | 수정 헌법 제1조 (표현의 자유 보장)를 기반으로 판례에 의해 학문 자유 인정. |
학문 자유의 중요성 | |
학문 발전 기여 | 자유로운 연구와 토론을 통해 새로운 지식 창출. |
사회 발전 기여 | 다양한 의견 존중과 사회 문제 해결 능력 증진. |
개인 발전 기여 | 비판적 사고 능력과 창의성 함양. |
학문 자유 관련 단체 | |
미국 대학교수협회 | 미국 대학교수협회 (AAUP) |
기타 | |
참고 문헌 | 미국 대학교수협회 학문 자유 FAQ 개인 학문 자유와 비전문적 행위 1940년 학문 자유 및 종신 재직권 원칙 선언 세계 사회에서의 학문 자유의 사회적 기반 |
2. 정의
학문의 자유는 교사가 가르칠 권리와 학생이 외부 간섭 없이 학문적 환경에서 배울 권리를 포함한다.[5][6]
역사적으로 학문의 자유는 조심스럽게 등장했다.[4] 중세 유럽에서 교회 교리를 비판하거나 교회에서 부적절하다고 여기는 행동을 한 학자들은 탄압을 받을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국민 국가가 등장하던 시대에 학자들은 정부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제재를 받을 수 있었다.[4]
학문의 자유는 학생과 교수진이 자유롭게 연구하여 학문적 사명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16][17] 학문 공동체는 정보 흐름을 형성하고 통제하는 능력 때문에 억압의 표적이 될 수 있다. 학자들이 외부 정치 집단이나 당국에 불편한 아이디어나 사실을 전달하려고 할 때, 공개적 비난, 직장 상실, 투옥, 심지어 사망의 표적이 될 수 있다.[16][17] 예를 들어, 북아프리카의 한 공중보건 교수는 자국의 유아 사망률이 정부 발표보다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직장을 잃고 투옥되었다.[16][17]
더 넓은 정의에 따르면, 학자는 정부의 간섭 없이 표현의 자유를 누리지만, 이 자유는 학문적 전문 지식과 지위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학문적 발언의 자유는 일반적인 발언의 자유보다 좁다. 예를 들어, 비학자는 백신의 효능을 비판할 발언의 자유를 가지지만, 그렇게 하려면 필수적인 학문적 자격을 갖추어야만 ''학문의 자유''를 가진다. 공개 발언과 달리, 학문적 발언은 동료 평가와 같은 학문적 동료에 의한 품질 관리 대상이 된다.[5]
유니버시티즈 UK(Universities UK)는 학문의 자유를 "학자들이 기존의 견해와 지혜에 의문을 제기하고 시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논란이 되거나 인기 없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지적 독립성을 보호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직업이나 특권을 잃을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했다.[7] 반면, 미국교사연맹(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은 이를 "캠퍼스에서의 자유로운 아이디어 교환이 양질의 교육에 필수적이라는 생각에 기반한 것"으로 보았다.[8]
3. 역사적 배경
학문의 자유는 근대 연구 중심 대학의 등장과 함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19세기의 훔볼트 대학 모델은 학문의 자유라는 기본적인 개념을 확립하여 다른 국가들로 확산시켰다.[5] 빌헬름 폰 훔볼트는 철학자이자 언어학자로, 19세기 초 베를린에 새로운 대학을 설립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는 학문 연구의 자유와 연구와 교육의 통합이라는 두 가지 학문의 자유 원칙을 준수하는 대학을 설립했다. 훔볼트에 따르면, 학문의 자유 원칙의 기본적인 명제는 과학이 이미 발견된 것이 아니라 결코 완전히 발견될 수 없지만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지식이라는 견해를 옹호하는 것이었다. 그가 설립한 대학은 이후 모델이 되어 독일의 현대 대학과 서구의 대학들에게 영감을 주었다.[10]
학문의 자유 개념은 전체주의 국가가 과학과 학계 전반에 침범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공식화되었다. 소련에서는 1930년대에 과학 연구가 엄격한 정치적 통제를 받았다. 여러 연구 분야가 "부르주아식 유사과학"으로 선언되어 금지되었는데, 특히 유전학[11] ("라이센코주의" 참조)과 사회학이 그러했다.[12] 존 데스몬드 버널은 이것을 "응용 과학"과 "순수 과학"의 상호 의존성의 일부로 묘사했다.[13]
마이클 폴라니는 과학 발전에 자유 구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14] 1936년, 소련 중공업부 강연 초청에 따라 폴라니는 부하린을 만났는데, 부하린은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과학 연구가 최신 5개년 계획의 필요에 맞춰 진행된다고 말했다. 영국에서 중앙 계획 과학 연구에 대한 요구는 폴라니가 존 베이커와 함께 과학의 자유를 위한 협회를 설립하게 했다.[15] 이 협회는 과학이 주로 사회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도구적 관점에 맞서 자유로운 탐구로서의 과학에 대한 자유주의적 개념을 홍보했다.[15] "자유에 대한 경멸"(1940)과 "자유의 논리"(1951)에 재게재된 일련의 기사에서 폴라니는 과학자 간의 협력이 주체들이 자유 시장 내에서 스스로 조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자유 시장에서 소비자가 제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처럼 과학은 전문가들 간의 공개적인 논쟁의 결과로 생겨나는 자발적 질서이다. 따라서 과학은 과학자들이 목적 자체로서 진리를 추구할 자유를 가질 때만 번영할 수 있다.
학문의 자유 옹호론자들은 학생과 교수진의 자유로운 연구가 학문의 사명에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그들은 학문 공동체가 정보의 흐름을 형성하고 통제하는 능력 때문에 반복적으로 억압의 표적이 된다고 주장한다. 학자들이 외부 정치 집단이나 당국에 불편한 아이디어나 사실을 가르치거나 전달하려고 시도할 때, 그들은 공개적인 비난, 직장 상실, 투옥 또는 심지어 사망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아프리카에서 한 공중보건 교수는 자국의 유아 사망률이 정부 수치보다 높다는 것을 발견하고 직장을 잃고 투옥되었다.[16][17]
소련 생물학의 운명은 사회가 학문의 자유를 보호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로 제이슨 베커에 의해 인용된다. 소련 생물학자 트로핌 리센코는 서구 과학(당시 주로 초파리를 이용한 연구에 기반한 이론적 유전학 발전에 중점을 두고 있었음)을 거부하고 변증법적 유물론의 집산화 원칙에 기반한 농업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 (리센코는 이것을 "미추린주의"라고 불렀지만, 오늘날에는 리센코주의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리센코의 아이디어는 선전으로서의 가치 때문에 소련 지도부에게 어필했고, 그는 궁극적으로 소련 농업 과학 아카데미 원장이 되었다. 그 후 리센코는 "유해한 사상"을 주장하는 과학자들을 숙청하여 수백 명의 소련 과학자들을 추방, 투옥 또는 사망에 이르게 했다. 리센코의 사상은 소련과 중국의 집단 농장에 적용되었다. 리센코의 영향으로 인한 기근으로 중국에서만 3천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8]
루스 피어스는 학문의 자유 개념이 학문을 국가 또는 종교 당국의 검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불관용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19]
1900년부터 2015년까지 157개국 이상을 포괄하는 대규모 실증 연구는 학문의 자유를 특정 국가에서 제출된 특허의 질과 양과 연결한다. 데이비드 오드레치와 동료들은 1세기가 넘는 관찰 기간 동안 처음으로 지난 10년 동안 학문의 자유가 감소하여 제출된 특허가 최소 4% 감소했다고 추정한다. 이 연구는 학문의 자유를 혁신 채널을 통해 경제 성장과 연결한 최초의 연구라고 주장한다.[20]
독일 기본법(Grundgesetz|그룬트게제츠de)은 특히 학문의 자유를 보장한다. "예술과 과학, 연구와 교육은 자유롭다. 교육의 자유는 헌법에 대한 충실 의무를 면제하지 않는다"(제5조 제3항).[49]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에 따라 사법부는 이 권리를 가르치는 권리(Lehrfreiheit|레어프라이하이트de), 배우는 권리(Lernfreiheit|레른프라이하이트de), 그리고 연구하는 권리(Freiheit der Wissenschaft|프라이하이트 데어 비센샤프트de)로 이해해 왔지만, 마지막 개념은 때때로 앞의 두 가지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Lehrfreiheit|레어프라이하이트de는 교수가 강의 내용을 결정하고 사전 승인 없이 연구 결과를 발표할 권리를 포함한다.
교수는 하빌리타치온을 통해 특정 학문 분야에서 가르칠 권리(venia docendi|베니아 도첸디la)를 얻기 때문에[50] 학문의 자유는 적어도 이 분야 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Lernfreiheit|레른프라이하이트de는 학생이 개별적인 학습 과정을 결정할 권리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Freiheit der Wissenschaft|프라이하이트 데어 비센샤프트de는 학문적 자치를 허용하고 대학에 내부 문제를 관리할 권한을 부여한다.
근대 시민혁명의 선진국인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권리장전이나 인권선언에는 학문의 자유에 관한 조항이 없다. 이는 사상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결과로서, 당연히 학문의 자유도 보장된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문은 종종 기존의 상식이나 구조의 재검토를 촉구하는 것이며,[133]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것으로서 박해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19세기에 학문의 자유 보장의 필요성이 특필할 만한 것으로 인식되었고, 대학교수 등 연구교육기관에서 고용인으로서 연구 교육을 하는 자가 해고 등의 위협을 받지 않고 전문적 직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학문의 자유가 인정되게 되었다.[134] 또한 프랑스에서는 대학에서의 학문의 자유는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의 자유를 포함하여 “교육의 자유”로 다루어져 왔다.
독일에서는 일찍부터 학문의 자유(Akademische Freiheit)의 개념이 발전해 왔다. 시민혁명이 미완성으로 시민적 자유의 보장이 불충분했던 독일에서는 대학교수에 대한 학문 연구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불가결했기 때문이다. 그 대신 학외 활동에 대해서는 학문 연구와 실천 또는 현실 정치와의 관계는 배제되었고 정치적 불자유를 받아야 했다.[135] 1810년 베를린 대학교 설립 등 학문의 자유는 대학의 성립과 함께 주장되기 시작했고, 1849년 프랑크푸르트 헌법 152조가 “학문 및 그 교수는 자유이다”라고 규정하여 처음으로 헌법상의 권리로 보장되었다.[133]
20세기에 들어서면 바이마르 헌법 142조가 “예술, 학문 및 그 교수는 자유이다. 국가는 이것들에 보호를 주고 또 그 육성에 참여한다”라고 규정하여 학문의 자유를 예술의 자유와 함께 보장하면서 국가의 적극적 의무를 명기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5조 3항과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33조 1항 등이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대일본제국헌법(메이지헌법)에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규정이 없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메이지 10년대부터 메이지 20년대에 걸쳐 인사권을 제외하고는 대학 자치의 제도와 관행의 원형이 거의 완성되었다. 다이쇼 시대가 되면 인사에 관한 대학의 자치도 관행으로 확립되어, 1914년 사와야나기 사건에 의해 대학교수의 임면에 대해서는 교수회의 동의를 요하는 관행이 확립되었다. 이와 같이 확립된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유도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거친 후 1930년대에는 크게 침해되기 시작했다. 1933년에는 문부대신에 의해 교토제국대학의 타키가와 유키타츠 교수에 대한 휴직 처분이 교수회의 동의 없이 이루어졌다(다키가와 사건).
1935년에는 그때까지 통설적 학설이었던 천황기관설의 대표적 학자인 미노베 타츠키치의 저서 3권이 출판법 19조에 의해 발매 금지 처분을 받고, 천황기관설의 강의도 금지되어, 사실상 학설의 존재 또는 공표가 금지되었다(천황기관설 사건).[141]
대학의 자치 개념은 파리 대학교 등 중세 이래의 유럽 전통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의 대학 자치 개념은 앞서 언급한 독일의 그것과 달리, 학생들이 교사를 초청하여 자주적으로 학습한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실제로 오랜 전통을 가진 유럽의 대학에서는 현재도 학장의 직명을 Rektor(독일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원래 "학생들의 리더", 즉 "학두(學頭)"를 의미하는 말이었다.[143]
일본국 헌법은 대학의 자치에 대해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통설은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치는 밀접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대학의 자치는 헌법 제23조에 의해 보장된다고 한다. 또한, 그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객관적인 제도적 보장으로서의 제도적 보장론이 유력하다. 판례도 서울대학교 포ポロ 사건의 대법원 판결에서 "대학에서의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대학의 자치가 인정된다"고 한 다음, "대학의 학문의 자유와 자치는 대학이 학술의 중심으로서 깊이 진리를 탐구하고 전문의 학예를 교수 연구하는 것을 본질로 하는 것에 기초한다"고 판시한 것으로 보아 헌법 제23조를 근거로 대학의 자치를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헌법이 사상 및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의 보장에 더하여 학문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학문 연구가 항상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려는 활동이어서 역사 발전에 기여한 바가 컸던 반면, 그만큼 당시의 지배자에 의한 박해를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특히 이를 제도적으로 보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144]
4. 정당성
사회는 학문의 자유를 보호함으로써 심각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소련의 트로핌 리센코 사례는 그 이유를 잘 보여준다. 리센코는 서구의 유전학을 거부하고 변증법적 유물론의 집산화 원칙에 기반한 농업 방식을 제안했다. 그의 주장은 리센코주의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리센코의 아이디어는 소련 지도부에 의해 채택되었고, 그는 소련 농업 과학 아카데미 원장이 되었다. 이후 리센코는 "유해한 사상"을 가진 과학자들을 숙청하여 수백 명의 과학자들이 추방, 투옥, 사망했다. 리센코의 사상은 소련과 중국의 집단 농장에 적용되었고, 이로 인한 기근으로 중국에서만 3천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8]
마이클 폴라니는 과학 발전에 자유로운 구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14] 그는 과학자들이 자유롭게 문제를 선택하고 연구할 때, 자유 시장에서처럼 자발적 질서가 형성된다고 보았다. 즉, 과학은 과학자들이 진리를 추구할 자유를 가질 때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학자 루스 피어스는 학문의 자유가 국가나 종교 당국의 검열로부터 학문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불관용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19]
1900년부터 2015년까지 157개국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학문의 자유는 특정 국가에서 제출된 특허의 질과 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학문의 자유가 감소하여 제출된 특허가 최소 4% 감소했다고 추정한다.[20]
5. 학문의 자유 지수 (Academic Freedom Index)
야니카 슈판나겔(Janika Spannagel)과 카트린 킨젤바흐(Katrin Kinzelbach)는 학문의 자유 지수(Academic Freedom Index)를 전 세계 학문의 자유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글로벌 지수라고 부르며, 19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가에 대한 소급 평가를 매년 업데이트하고 있다.[21] 이 지수는 다음 다섯 가지 범주를 사용하여 학문의 자유를 평가한다.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의 전반적인 학문의 자유는 2013년 이후 후퇴하고 있다.[22] 그 원인으로는 권위주의[22]와 정치적 양극화[23][24], 그리고 포퓰리즘[25]이 제기되었다.
6. 국가별 현황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의 전반적인 학문의 자유는 2013년 이후 후퇴하고 있다.[22] 그 원인으로는 권위주의[22]와 정치적 양극화[23][24], 그리고 포퓰리즘[25]이 제기되었다.
야니카 슈판나겔(Janika Spannagel)과 카트린 킨젤바흐(Katrin Kinzelbach)는 학문의 자유 지수(Academic Freedom Index)를 전 세계 학문의 자유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글로벌 지수라고 부르며, 19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가에 대한 소급 평가를 매년 업데이트하고 있다.[21] 이 지수는 다음 다섯 가지 범주를 사용하여 학문의 자유를 평가한다.
- 연구 및 교육의 자유
- 학술 교류 및 보급의 자유
- 기관의 자율성
- 캠퍼스의 무결성
- 학문 및 문화적 표현의 자유
근대 시민혁명의 선진국인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권리장전이나 인권선언에는 학문의 자유에 관한 조항이 없다. 이는 사상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결과로서, 당연히 학문의 자유도 보장된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문은 종종 기존의 상식이나 구조의 재검토를 촉구하는 것이며,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것으로서 박해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19세기에 학문의 자유 보장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대학교수 등 연구·교육기관에서 고용인으로서 연구·교육을 하는 자가 해고 등의 위협을 받지 않고 전문적 직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학문의 자유가 인정되게 되었다.
독일에서는 일찍부터 학문의 자유(Akademische Freiheit) 개념이 발전했다. 시민혁명이 미완성으로 시민적 자유의 보장이 불충분했던 독일에서는 대학교수에 대한 학문 연구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불가결했다. 그 대신 학외 활동에 대해서는 학문 연구와 실천 또는 현실 정치와의 관계는 배제되었고 정치적 불자유를 받아야 했다. 1810년 베를린 대학교 설립 등 학문의 자유는 대학의 성립과 함께 주장되기 시작했고, 1849년 프랑크푸르트 헌법 152조가 “학문 및 그 교수는 자유이다”라고 규정하여 처음으로 헌법상의 권리로 보장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 바이마르 헌법 142조가 “예술, 학문 및 그 교수는 자유이다. 국가는 이것들에 보호를 주고 또 그 육성에 참여한다”라고 규정하여 학문의 자유를 예술의 자유와 함께 보장하면서 국가의 적극적 의무를 명기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5조 3항과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33조 1항 등이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대일본제국헌법(메이지 헌법)에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규정이 없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 초기부터 중기까지 인사권을 제외한 대학 자치의 제도와 관행이 거의 완성되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인사에 관한 대학의 자치도 관행으로 확립되어, 1914년 사와야나기 사건으로 대학교수의 임면에 교수회의 동의를 요하는 관행이 확립되었다. 1930년대에는 다키가와 사건, 천황기관설 사건[141] 등 학문의 자유가 침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네덜란드에서는 '''교육의 자유'''가 특히 실현되어 있으며, 네덜란드 교육부는 학교 설립의 자유, 교육의 자유, 교육 조직의 자유라는 세 가지 자유로 설명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사회 계급의 차이보다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등의 사상·신조의 대립 등이 정치적 쟁점이 되어 왔다는 역사적 경위가 있다.
시설 등의 관리에 있어서는 경찰권과의 관계가 특히 문제된다. 현대 일본에서는 대학이 치외법권을 가지는 것이 아니며, 정식 영장에 따른 교내 수사를 대학이 거부할 수도 없다. 대학 분쟁이 격렬했던 1969년에는 대학 운영에 관한 임시 조치법이 제정되었다. 대학 당국의 힘으로는 수습할 수 없을 정도의 불법 행위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긴급한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찰력의 출동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긴급하고 부득이한 경우와 대학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장쩌민 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방일 당시, 와세다 대학 강연회에서 대학 당국이 참석자 명부를 경찰에 제공했던 와세다 대학 장쩌민 강연회 명부 제출 사건이 발생했다.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 헌법 제22조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며, 저작자, 발명가, 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도 함께 보호한다.[136] 교육기본법과 학교교육법을 통해 대학의 자율성이 보장되고 있다.[137] 1947년 교육기본법 및 학교교육법이 제정되었고, 1949년에는 교육공무원특례법이 제정되었다. 학교교육법은 교수회를 대학의 관리 운영의 중심 기관으로 규정하고, 교육공무원특례법은 대학의 학장·교원 및 부서원의 채용·승진의 선고·전임·강임·징계의 심사 등을 모두 대학의 관리 기관이 행하도록 하고 있다.[119]대법원 판례는 학문의 자유가 모든 국민에게 보장되며, 대학에서의 학문의 자유를 특히 강조하고 있다.[120] 서울대학교 포폴로 사건에서 대법원은 헌법 23조에 대해 “모든 국민에게 그러한 자유를 보장하는 동시에, 대학이 학술의 중심으로서 진리를 깊이 탐구하는 것을 본질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특히 대학에서의 그러한 자유를 보장하는 것을 취지로 한 것이다.”라고 판시하였다.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자유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으며, 초·중등 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의 자유까지 확대하는 학설도 존재한다.[122] 아산학력테스트 사건 판례는 교사의 교육의 자유를 일부 인정하면서도, 일반 교육에서는 완전한 교수의 자유를 인정할 수 없음을 명확히 했다.[124]
6. 2. 중국
중국에서는 학문의 자유가 심각하게 제한되어 왔다.[27][28][29] 학자들은 중국 정부와 집권 중국 공산당(CCP)에 민감한 문제에 대해 '잘못된' 의견을 표명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30][31] 이러한 노력은 학자들이 자기 검열을 하고 학문적 담론을 바꾸는 데 효과적이었다.[32]2020년 12월, AP 통신은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의 직접 명령에 따라, 중국이 COVID-19의 기원에 대한 과학 연구를 통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의 명령에 따라 모든 연구는 국무원 관리하의 태스크포스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과학 출판은 "체스 게임"처럼 조율되어야 하고, 허가 없이 출판하는 사람은 책임을 질 것이라고 경고했다.[33][34]
전국 공영 라디오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 내 최소 109개 대학이 중국 공산당 지도부를 확인하는 첫 번째 헌장을 발표했다.[35] 2020년, 상하이의 푸단대학교는 2019년 12월 학교 헌장 개정을 통해 중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한 후 헌장에서 사상의 자유를 삭제했다.[35]
홍콩 학계는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이 홍콩의 학문의 자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36]
2021년 8월, 런던대학교의 Jue Jiang은 연구를 통해, 중국에서 학문의 자유가 대학 캠퍼스에서 교수들을 감시하고 신고하도록 모집되고 장려되는 학생 정보원들의 중국 공산당 시스템에 의해 침해받고 있다고 주장했다.[37]
6. 3. 프랑스
프랑스 공립대학교 교수와 공공 연구소 연구원들은 모든 공무원처럼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하지만, 헌법위원회가 정의한 바와 같이 학문의 자유는 공화국의 법률에 의해 인정되는 기본 원칙이다.[38] 고등교육에 관한 법률은 "교수-연구원(대학교수 및 조교수), 연구원 및 교사는 연구 및 교육 활동 과정에서 대학 전통과 본 조항의 규정에 따라 관용과 객관성의 원칙을 준수하는 것을 전제로 완전한 자유와 완전한 언론의 자유를 누린다"고 명시하고 있다.[38] 교수의 임명과 승진은 일반적인 행정 절차가 아닌 동료 평가 과정을 통해 주로 이루어진다.프랑스의 학문의 자유는 유럽연합(EU)의 다른 국가들과 다르다. 특히 학계의 소위 "이슬람 좌파주의"에 대한 정부의 접근 방식이 정치적 문제로 부각되기도 했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이슬람 좌파주의"가 실존하지 않는다고 반박했지만,[39] "이슬람 좌파주의"는 2022년 대선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프랑스에서 학문의 자유에 대한 위협은 다음과 같다:[40][41]
위협 요인 | 설명 |
---|---|
정치 당국의 개입 | 프랑스 대학은 대부분 "공립대학"이며 정치적 감독을 받는다. 에르네스트 르낭과 루이-나폴레옹의 사례처럼, 정당들은 오랫동안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는 요인이었다. |
국가 공무원(고등교육부)의 간섭 | |
대학 행정부의 영향력 | 지도적 위치에 있는 학자들과 제도적 관료주의로 구성된 대학 행정부("밀접한 행정부"라고 함)는 학자들의 연구 및 교육 자유를 위협한다. |
전략적 소송 남용(SLAPP) | 비판을 막기 위해 법적 방어 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소송은 언론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위협한다. |
학생 및 학술 활동가 단체의 압력 | 교사들은 상위 권한자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내용이 불쾌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학생"과 "활동가 단체"도 두려워해야 한다. 이는 "이슬람 좌파주의" 사례와 관련이 있다. |
2020년 10월 16일, 사무엘 파티가 표현의 자유 수업에서 무함마드를 풍자한 샤를리 엡도 풍자 잡지를 사용한 후 살해되었다.[43] 이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 정부는 표현의 자유와 공화국 원칙 존중을 강화하기 위한 법안을 추진했다.[46]
6. 4. 독일
독일 기본법(Grundgesetz|그룬트게제츠de)은 학문의 자유를 보장한다. "예술과 과학, 연구와 교육은 자유롭다. 교육의 자유는 헌법에 대한 충실 의무를 면제하지 않는다"(제5조 제3항).[49] 19세기부터 이어져 온 전통에 따라, 사법부는 이 권리를 가르치는 권리(''Lehrfreiheit|레어프라이하이트de''), 배우는 권리(''Lernfreiheit|레른프라이하이트de''), 연구하는 권리(''Freiheit der Wissenschaft|프라이하이트 데어 비센샤프트de'')로 이해해 왔다. 마지막 개념은 때때로 앞의 두 가지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Lehrfreiheit|레어프라이하이트de''는 교수가 강의 내용을 결정하고 사전 승인 없이 연구 결과를 발표할 권리를 포함한다.교수는 ''Habilitation''(하빌리타치온)을 통해 특정 학문 분야에서 가르칠 권리()를 획득한다.[50] 따라서 학문의 자유는 적어도 이 분야 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Lernfreiheit|레른프라이하이트de''는 학생이 개별적인 학습 과정을 결정할 권리를 의미한다. ''Freiheit der Wissenschaft|프라이하이트 데어 비센샤프트de''는 학문적 자치를 허용하고 대학에 내부 문제를 관리할 권한을 부여한다.
6. 5. 일본
메이지 헌법에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규정이 없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 초기부터 중기까지 인사권을 제외한 대학 자치의 제도와 관행이 거의 완성되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인사에 관한 대학의 자치도 관행으로 확립되어, 1914년의 사와야나기 사건으로 대학교수의 임면에 교수회의 동의를 요하는 관행이 확립되었다.1930년대에는 다키가와 사건, 천황기관설 사건[141] 등 학문의 자유가 침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다키가와 사건은 1933년 문부대신이 교토제국대학의 타키가와 유키타츠 교수를 교수회의 동의 없이 휴직 처분한 사건이다. 천황기관설 사건은 1935년 미노베 타츠키치의 저서 3권이 출판법 위반으로 발매 금지되고 천황기관설 강의가 금지된 사건이다[141]。
일본국 헌법 제23조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한다.
1947년에는 교육기본법 및 학교교육법이 제정되었고, 1949년에는 교육공무원특례법이 제정되었다. 학교교육법은 교수회를 대학의 관리 운영 중심 기관으로 규정하고, 교육공무원특례법은 대학의 학장, 교원 및 부서원의 채용, 승진, 전임, 강임, 징계 심사 등을 대학의 관리 기관이 행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메이지 헌법에서 관행이었던 대학의 자치는 성문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학문의 자유의 내용에는 학문 연구의 자유, 학문 연구 결과 발표의 자유, 대학에서의 교수의 자유, 대학의 자치가 포함된다. 학문의 자유 주체는 대학을 중심으로 한 고등 연구 교육 기관의 연구자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에게 인정된다.
대학의 자치는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보장으로 여겨진다[137][140]。 대학의 자치 내용에는 인사의 자치, 시설 관리, 학생 관리, 연구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자주적인 결정권, 예산 관리의 자치 등이 포함된다.
와세다 대학 장쩌민 강연회 명부 제출 사건과 같이 대학 자치와 관련된 논쟁이 발생하기도 했다[147]。 장쩌민 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의 와세다 대학 강연회에서 대학 당국이 참석자 명부를 경찰에 제공한 사건으로, 학생 측이 소송에서 승소했다[147]。
6. 6. 기타 국가
이스라엘의 학문의 자유는 「이스라엘 고등교육위원회 법」[52] 제15조에 명시되어 있다. 해당 조항은 "인정된 기관은 예산의 틀 안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모든 학문적 및 행정적 사항에 대해 자유롭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학문적 및 행정적 사항'에는 연구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결정, 기관 당국 임명, 교수 임명 및 승진, 교수법 및 학습 결정, 기타 과학적, 교육적 또는 경제적 활동이 포함된다. 고등교육기관의 학문적 자유를 보장하고 적절한 학문 수준을 유지해야 할 기관은 고등교육위원회이다. 이 위원회는 대학교수와 공인으로 구성되며, 교육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고등교육 위원회에는 "위원회 기획 및 예산위원회"라는 집행 기구가 있다. 이 기구는 주로 대학 예산 문제와 관련 절차 및 지침(예산 및 급여 관련)을 다룬다. 학문의 자유를 보호해야 할 또 다른 기구는 "대학 총장 위원회"이다. 이 기구들은 직원 위원회와 각 구성원의 개별 활동을 통해 학문의 자유 유지를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의와 연구의 자유를 목표로 하는 필수적인 학문의 자유는 보장되었으며, 정부는 이러한 내용에 개입하거나 개입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정부가 이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은 특정 방식의 강의 또는 특정 분야의 연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보조금을 통해)이다. 정부가 이스라엘 대학의 현재 예산(약 70% 이상)의 상당 부분을 지원한다는 사실은 정부가 이스라엘 예산 대학의 학생 등록금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53] 그러나 2021년, 이스라엘상 학술 위원회는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의 오데드 골드라이히(Oded Goldreich) 교수에게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 이스라엘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교육부 장관은 골드라이히 교수가 점령지인 유대 사마리아 지역에 위치한 아리엘 대학교에 대한 학술 보이콧을 촉구하는 청원에 서명하고, 독일 정부에 BDS 운동이 반유대주의적 운동이라는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 것을 이유로 위원회의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수상 위원회는 학문의 자유 침해를 이유로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대법원은 교육부 장관의 결정을 뒤집고 골드라이히 교수에게 상을 수여하라고 명령했다. 골드라이히 교수는 1년 후 상을 받았다.[54]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대학 교수진의 극단적인 정치적 발언 이후 학문의 자유 문제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발생했다. 논란이 된 발언의 대부분은 이스라엘에 대한 학술 보이콧을 촉구하거나 이스라엘의 경제적 및 학술적 보이콧을 지지하는 단체를 지지하는 내용이었다. 논쟁의 중심에 있었던 질문은 대학교수가 언론의 자유 원칙에 의해 보호받는지, 또는 교수의 지위를 이용하여 자신이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기관의 입장을 드러낼 수 있는 정치적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금지되는지였다. 더욱이, 교수가 수업 시간에 정치적 입장을 표명하거나, 심지어 초청된 사람들 간의 균형을 유지하지 않고 정치 단체 대표를 수업에 초청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도 문제였다.[55]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당시 교육부 장관인 나프탈리 베넷(Naftali Bennett)은 아사 카셔(Asa Kasher) 교수에게 대학을 위한 학술 윤리강령을 작성해 줄 것을 요청했고,[56][57] 이 강령은 2018년 3월 고등교육 위원회에서 승인되었다. 네게브 벤구리온 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연구 대학교(7개 대학교)는 이미 표현의 자유 문제를 포함한 학술 윤리 강령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이 강령을 채택하는 것을 거부했다.[58]
이스라엘의 모든 연구 대학교에는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최고 감사가 있다. 대학 내부 감사와 학문의 자유 원칙 간의 상호 관계 문제는 네게브 벤구리온 대학교를 대신하여 발행된 책에 게재된 논문에서 자세히 논의된다.[59]
1997년 대학교법(Universities Act) 14조는 연구, 교육 및 기타 활동에서 "기존의 지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시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논란이 되거나 인기 없는 의견을 진술하는 것"과 같은 학문의 자유를 보호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51]
모리셔스 헌법 제2장에 따르면 학자들은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 학교 설립의 자유, 차별로부터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60] 그러나 국가 자금에 대한 의존과 관료주의로 인해 학자들이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자유가 제한되었다.[61] 모리셔스 대학교(University of Mauritius)의 교육자인 카세날리(Kasenally) 박사는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는 대학교가 논쟁적인 토론의 최전선에 있었지만, 1990년대에는 학문의 자유가 억압되어 특히 경영진이나 정부의 견해에 반대되는 견해나 아이디어를 표현하지 않도록 하면서 대학교가 그러한 논쟁에서 물러났다고 말했다.[61]
2012년 모리셔스 대학교(University of Mauritius)에 관한 논문에서 저자는 인권 침해나 국가의 자유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특히 집권 여당과 그 지도자들, 그리고 종교 단체들에 대한 비판과 관련하여 표현의 자유에 대한 미묘한 위협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학자들이 체포되거나 과도하게 구금된 사례는 없었지만, 승진 등 경력에 지장을 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학자들은 논쟁적인 토론에 참여하는 것을 피하려고 한다.[61] 2009년 5월, 모리셔스 대학교가 이전 총장인 I. 파고니(Fagoonee) 교수가 교육부가 학자들에게 보낸 공문을 전달한 것에 대해 반발하면서 학문의 자유가 공론화되었다.[61] 이 공문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언론과 이야기하기 전에 상급자와 상의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반발로 총장이 사퇴했으며, 저자는 정부가 학문의 자유를 더 공개적으로 억제하려는 인기 없는 제안에 대해 총장을 희생양으로 삼았다고 추측했다.[61]
네덜란드에서는 학문의 자유가 제한적이다. 1985년 11월, 네덜란드 교육부는 "고등교육: 자율성과 질"이라는 제목의 정책 보고서를 발표했다.[62] 이 보고서는 기존 교육에서 벗어나는 제안을 담고 있으며, 고등교육 부문의 미래는 중앙 정부가 규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62] 1992년에는 고등교육 및 연구법(Wet op het hoger onderwijs en wetenschappelijk onderzoek, 제1조 6항)이 발표되어 1993년에 효력을 발생했다.[62] 그러나 이 법은 특정 기관에만 적용된다.[62]
1989년 교육법 제161조(2)항은 학문의 자유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법률의 범위 내에서 학계 종사자와 학생이 기존의 지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시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논란이 되거나 인기 없는 의견을 진술할 자유;
b) 학계 종사자와 학생이 연구에 참여할 자유;
c) 대학 및 그 직원이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의 내용을 규정할 자유;
d) 대학 및 그 직원이 학습을 가장 잘 증진한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학생을 가르치고 평가할 자유; 그리고
e) 대학이 이사회와 총장을 통해 자체 직원을 임명할 자유.[63]
1987년 필리핀 헌법은 "모든 고등 교육 기관에서 학문의 자유를 누린다"고 명시하고 있다.[64] 필리핀의 법률 및 법원, 필리핀 대법원을 포함하여, 교수의 학문의 자유 남용에 관한 법정 소송의 결과와 관련하여 학문적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고등 교육 기관의 제도적 자율성을 반사적으로 존중하는 경향이 있다.
1996년 남아프리카공화국 헌법은 학문의 자유와 학술 연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66] 1997년에는 학문의 자유가 고등교육의 주요 원칙이 되었다.[66] 학문의 자유를 위협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는 정부 규제, 사립 부문 후원자의 과도한 대학 영향력, 대학 내 언론 자유 제한으로 여겨진다.[66]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여러 대학에서 학문의 자유 제한과 관련된 많은 스캔들이 발생했다.[67] 콰줄루-나탈 대학교는 학문의 자유 제한과 2007년에 발생한 스캔들로 유명해졌다.[67] 이 스캔들에서 사회학 강사인 파젤 칸(Fazel Khan)은 2007년 4월 뉴스 매체에 정보를 공개한 후 "대학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이유로 해고되었다.[67] 칸에 따르면, 그는 지난 2월 교직원 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캠퍼스 간행물 사진에서 삭제되었다고 한다.[67] 이 스캔들을 고려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 고등교육위원회는 정부가 학문의 자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67] 특히 국립대학은 공공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정치적 압력에 더 취약하다.[67]
영국 정부가 의뢰하여 1963년에 발표된 로빈스 고등교육 보고서[68]는 16장을 할애하여 학문의 자유와 그 범위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이 보고서는 개별 학자의 자유와 교육 기관 자체의 자유 모두에 부여되는 중요성을 상세히 논의한다. 당시와 현재 모두 비자유주의 정부들이 표현의 자유를 공격하는 데 너무나도 쉽게 나서는 상황에서, 로빈스 위원회는 당시 법으로 보장된 학문의 자유가 사회 전체를 그러한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한다고 보았다.
마거릿 대처 정부가 로빈스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학문의 자유에 대한 법적 보호 조치를 많이 없애려고 했을 때, 상원의 적대적인 수정안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좌절되었다. 이 수정안은 1988년 교육 개혁 법(Education Reform Act)에 영국 학자들이 '기존의 지식을 질문하고 시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논란이 되거나 인기 없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포함하게 되었는데, 이는 직업이나 특권을 잃을 위험 없이 가능해야 함을 의미한다.[69] 따라서 이러한 학문의 자유 원칙은 대부분의 영국 대학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AQs on Academic Freedom
https://www.aaup.org[...]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2021-07-14
[2]
논문
Individual academic freedom and aprofessional acts
https://www.research[...]
2009
[3]
서적
The Specific Theory of Academic Freedom and the General Issue of Civil Liberty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5
[4]
간행물
1940 Statement of Principles on Academic Freedom and Tenure
http://www.aaup.org/[...]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2006-07-10
[5]
논문
The Social Foundations of Academic Freedom: Heterogeneous Institutions in World Society, 1960 to 2022
2024
[6]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https://www.britanni[...]
2024-03-25
[7]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sector statement on promoting academic freedom and free speech
https://www.universi[...]
2022-12-20
[8]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https://www.aft.org/[...]
[9]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https://hkdir.no/en/[...]
2023-11-28
[10]
논문
Wilhelm von Humboldt and th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jhuapl.e[...]
2022-04-05
[11]
논문
Scientists in Politics
https://books.google[...]
1962-05
[12]
논문
Soviet Sociology and Sociology in the Soviet Union
1988-01-01
[13]
서적
Basic and applied research: the language of science policy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www.berghahn[...]
Berghahn books
2018
[14]
서적
Personal Knowledge
Edwin Mellen Press
[15]
논문
On Freedom and Planning in Science: The Society for Freedom in Science 1940–1946
[16]
웹사이트
Defending 'Dangerous Minds
http://www.ssrc.org/[...]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4
[17]
서적
Academic Freedom—Its Basic Philosophy, Function and History
1969
[18]
서적
Hungry Ghosts: Mao's Secret Famine
Free Press
1996
[19]
논문
Academic freedom and the paradox of tolerance
http://eprints.gla.a[...]
2021
[20]
논문
Academic freedom and innovation: A research note
https://papers.ssrn.[...]
2023
[21]
논문
The Academic Freedom Index and Its indicators: Introduction to new global time-series V-Dem data
2022-10-13
[22]
논문
Academic freedom growth and decline episodes
2023-12-18
[23]
웹사이트
'Stark decline' in academic freedom: four in 10 face restrictions
https://www.timeshig[...]
2024-03-07
[24]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Index: Update 2024
https://academic-fre[...]
2024-03-07
[25]
웹사이트
Study highlights key social forces shaping worldwide academic freedom trends
https://phys.org/new[...]
[26]
웹사이트
Country Graph
https://v-dem.net/da[...]
2024-03-09
[27]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in China
https://www.proquest[...]
2002-05
[28]
서적
University Governance and Reform
[29]
논문
The Paradox of Academic Freedom in the Chinese Context
[30]
잡지
America's Elite Universities Are Censoring Themselves on China
https://newrepublic.[...]
2018-09-04
[31]
웹사이트
Scholars and politicians raise concerns about the Chinese government's influence over international academe
https://www.insidehi[...]
2018-01-03
[32]
웹사이트
The End of the Harvard Century – Magazine
https://www.thecrims[...]
2020-04-23
[33]
뉴스
China clamps down in hidden hunt for coronavirus origins
https://apnews.com/a[...]
2020-12-30
[34]
웹사이트
China delayed releasing coronavirus info, frustrating WHO
https://apnews.com/a[...]
2021-04-20
[35]
웹사이트
Chinese Universities Are Enshrining Communist Party Control In Their Charters
https://www.npr.org/[...]
2020-01-20
[36]
웹사이트
How Academic Freedom Ends
https://www.theatlan[...]
2021-06-06
[37]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in China: An Empirical Enquiry through the Lens of the System of Student Informants (Xuesheng Xinxiyuan)
https://papers.ssrn.[...]
2021-08-30
[38]
법률
French Education Code, L952-2
http://www.legifranc[...]
French Government
[39]
간행물
State of play of academic freedom in the EU Member States
https://www.europarl[...]
2023-03-00
[40]
서적
Academic Freedom in France: A Concept Neglected and Liberties under Threat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
[41]
간행물
State of play of academic freedom in the EU Member States
https://www.europarl[...]
2023-03-00
[42]
웹사이트
The government is the biggest threat to French academic freedom
https://www.timeshig[...]
2021-03-05
[43]
웹사이트
A Teacher, His Killer and the Failure of French Integration
https://www.nytimes.[...]
2020-10-26
[44]
웹사이트
Samuel Paty beheading: Teacher's slaying spurs protests across France
https://www.cnn.com/[...]
2020-10-18
[45]
잡지
The Beheading of a Teacher in France Exposes a Cultural Schism That Threatens President Macron's Future
https://time.com/590[...]
2020-10-21
[46]
웹사이트
France Is About to Become Less Free
https://www.theatlan[...]
2020-11-24
[47]
웹사이트
France Lawmakers Pass Contentious Bill Extending Police Powers
https://www.nytimes.[...]
2021-04-15
[48]
웹사이트
Strengthening Respect for the Principles of the Republic?
https://talkabout.ic[...]
BYU Law
2021-02-16
[49]
웹사이트
Basic Law for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s://www.gesetze-[...]
[50]
웹사이트
Initial education for academic staff in higher education
https://eurydice.eac[...]
[51]
웹사이트
Universities Act, 1997
http://www.irishstat[...]
1997-05-14
[52]
법률
The Law of the Councile for Higher Education
https://he.wikisourc[...]
1958
[53]
간행물
Tuition polic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Israel
https://www.neaman.o[...]
Shmuel Na'aman Institute, Technion
2006
[54]
뉴스
End of the saga: Prof. Oded Goldreich received the Israel Prize in a small ceremony
https://www.ynet.co.[...]
2022-04-11
[55]
기타
[56]
기타
Limiting Freedom of Expression or Setting Norms? Storm over the code of ethics for academia
https://www.davar1.c[...]
Davar
2017-06-00
[57]
웹사이트
Protecting academic freedom in Israeli higher education
https://jewishstudie[...]
2019-01-29
[58]
기타
Academia Without Political Opinions: on the way to the approval of the ethical code
https://www.ynet.co.[...]
Ynet
2018-03-00
[59]
서적
The Internal Audit at the University and Academic Freedom – Between Conflict and Harmony
https://onedrive.liv[...]
J. Grados and Y. Nevo (editors), Science and Spirit in the Negev
2014
[60]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Higher Education Law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61]
간행물
Academic Freedom in a State-Sponsored African University: The Case of the University of Mauritius.
https://www.aaup.org[...]
2012
[62]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Higher Education Law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63]
웹사이트
Education Act 1989 No 80 (as at 28 September 2017), Public Act 161 Academic freedom –
http://www.legislati[...]
[64]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www.chanroble[...]
[65]
웹사이트
Blog post
http://shahani-vs-up[...]
[66]
간행물
Academic Freedom statement from the Academy of Science of South Africa (ASSAf)
http://archive.sajs.[...]
2010-04-16
[67]
간행물
Academic Freedom Is Eroding in South Africa, Critics Say
https://www.chronicl[...]
2007-05-25
[68]
웹사이트
Robbins Report on Higher Education
http://www.education[...]
1963-10-00
[69]
웹사이트
1988 Education Reform Act
http://www.legislati[...]
[70]
웹사이트
The rise of anti-trans "radical" feminists, explained
https://www.vox.com/[...]
2019
[71]
웹사이트
Freedom of expression: a guide for higher education providers and students' unions in England and Wales
https://www.equality[...]
2019-00-00
[72]
웹사이트
PREVENT: Counter-Terrorism and Freedom
https://www.wadham.o[...]
2016-02-00
[73]
웹사이트
AAUP: 1940 Statement of Principles on Academic Freedom and Tenure
http://www.aaup.org/[...]
2006-10-13
[74]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https://www.mtsu.edu[...]
2024-02-18
[75]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Is Under Attack. College Accreditors May Be the Best Line of Defense.
https://tcf.org/cont[...]
2024-06-12
[76]
일반
[77]
서적
In Defense of Free Speech in Universities: A Study of Three Jurisdictions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3-00-00
[78]
웹사이트
Censure List
http://www.aaup.org/[...]
AAUP
2006-07-18
[79]
웹사이트
More and more U.S. universities limiting students' free expression
https://www.washingt[...]
2022-12-17
[80]
웹사이트
New FIRE report finds 85% of top colleges have restrictive speech codes
https://www.thefire.[...]
2024-01-31
[81]
웹사이트
Free Speech and Academic Freedom
https://www.law.colu[...]
2016-03-07
[82]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s origin story
https://news.stanfor[...]
2023-05-01
[83]
웹사이트
What is Academic Freedom?
https://web.archive.[...]
2000-11-15
[84]
판례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 Bakke
[85]
판례
Sweezy v. New Hampshire
[86]
판례
Stronach v. Virginia State University
[87]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of Professors and Institutions – AAUP
https://www.aaup.org[...]
2002-05-00
[88]
판례
Urofsky v. Gilmore
[89]
판례
Lovelace v. S.E. Mass. University
[90]
판례
Edwards v. Californ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91]
판례
Brown v. Amenti
[92]
판례
Wozniak v. Conry
[93]
판례
Parate v. Isibor
[94]
웹사이트
CASE IN POINT: STRONACH V. VIRGINIA STATE U. (2008): Does Academic Freedom Give a Professor the Final Say on Grades?
http://chronicle.com[...]
[95]
저널
Universities as First Amendment Institutions: Some Easy Answers and Hard Questions
[96]
뉴스
Opinion: At UCLA, free speech is suppressed and double standards reign
http://www.washingto[...]
2017-07-23
[97]
저널
Testing the Limits of Academic Freedom
1982-00-00
[98]
웹사이트
AAUP. 1940 Statement of Principles on Academic Freedom and Tenure
http://www.aaup.org/[...]
[99]
웹사이트
Political And Religious Belief Discrimination On Campus: Faculty and Student Academic Freedom and The First Amendment
https://web.archive.[...]
2005-03-00
[100]
판례
Sweezy v. New Hampshire; Keyishian v. Board of Regents; Regents of Univ. of Michigan v. Ewing
[101]
웹사이트
The Basics
https://campusfreesp[...]
[102]
웹사이트
State of the Law: Speech Codes
https://www.thefire.[...]
[103]
저널
Creationists Push Pseudo-Science Text
http://rethinkingsch[...]
1997-12-00
[104]
웹사이트
Intelligent Design on Trial: Kitzmiller v. Dover
http://ncse.com/crea[...]
2008-10-17
[105]
웹사이트
Bill Analysis and Fiscal Impact Statement
http://www.flsenate.[...]
2008-03-26
[106]
블로그
"Academic Freedom" Bill in South Carolina Now
http://scienceblogs.[...]
Dispatches From the Culture Wars
2008-05-18
[107]
뉴스
Evolution's Critics Shift Tactics With Schools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08-05-02
[108]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and Teaching Evolution
http://www.aaup.org/[...]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2008
[109]
잡지
The Latest Face of Creationism in the Classroom
http://www.sciam.com[...]
Scientific American
2008-12
[110]
웹사이트
Chronology of "Academic Freedom" Bills
https://ncse.ngo/chr[...]
National Center for Science Education
2013-02-07
[111]
웹사이트
FAQs on Academic Freedom
https://www.aaup.org[...]
AAUP
2021-07-14
[112]
웹사이트
1940 Statement of Principles on Academic Freedom and Tenure
https://www.aaup.org[...]
AAUP
2006-07-10
[113]
논문
Academic Freedom Should be Redefined: Point and Counterpoint
https://www.ajpe.org[...]
2016
[114]
논문
Academic Freedom in a Changing Academic World
2010-05
[115]
서적
Heresy, Yes–Conspiracy, No
https://archive.org/[...]
John Day Company
1953
[116]
잡지
Is Academic Freedom in Danger?
https://books.google[...]
Time, Inc.
1953-06-22
[117]
웹사이트
Against Diversity Statements
https://www.chronicl[...]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9-01-03
[118]
웹사이트
Former Harvard dean's tweet against required faculty diversity statements sets off debate
https://www.insidehi[...]
Inside Higher Ed
2018-11-12
[119]
논문
A word from
https://www.ams.org/[...]
[120]
웹사이트
The Perils of Writing a Provocative Email at Yal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6-05-26
[121]
뉴스
Opinion: My Halloween email led to a campus firestorm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6-10-28
[122]
서적
Rumors of Indiscretion: The University of Missouri "Sex Questionnaire" Scandal in the Jazz A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3
[123]
웹사이트
Academic Freedom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Report on the Dismissal of Professor DeGraff and the Suspension of Professor Meyer
http://www.aaup.org/[...]
1930-02-02
[124]
논문
Report on the Dismissal of Professor DeGraff and the Suspension of Professor Meyer
1930-02
[125]
뉴스
Summers' remarks on women draw fire
http://www.boston.co[...]
Boston.com
2005-01-17
[126]
웹사이트
In Defense of Academic Freedom at Harvard
http://hnn.us/articl[...]
History News Network, George Mason University
[127]
뉴스
President of Harvard Resigns, Ending Stormy 5-Year Tenur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2-22
[128]
웹사이트
Rights for some people
http://www.insidehig[...]
Inside Higher Ed
2009-06-08
[129]
뉴스
She's not against gay people, just against gay agenda
http://www.asiaone.c[...]
The New Paper
2009-07-22
[130]
뉴스
Citing Opposition, Professor Calls off NYU Appointmen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22
[131]
뉴스
Professor's comparison of Israelis to Nazis stirs furor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09-04-30
[132]
웹사이트
SPME Statement on the Disposition of the Case of William Robinson at UCSB
http://www.spme.net/[...]
SPME Board of Directors
2009-06-29
[133]
백과사전
학문의 자유
[134]
서적
基本法コンメンタール憲法第3版
日本評論社
1986
[135]
서적
学問の自由・大学の自治研究
評論社
1979
[136]
논문
「学問の自由」,「大学の自治」と大学内部の法関係 (1)
https://kokushikan.r[...]
國士舘大學比較法制研究所
2016-02-01
[137]
백과사전
학문의 자유
[138]
백과사전
대학의 자치
[139]
백과사전
대학의 자치
[140]
백과사전
대학의 자치
[141]
서적
天皇機関説事件(下)
有斐閣
[142]
메일링리스트
リヒテルズ直子オランダの学校教育1 大原則としての『教育の自由』
http://www.forum3.co[...]
2010-04-07
[143]
서적
大学論
日本エディタースクール出版部
[144]
서적
学問の自由と大学の自治
三省堂
[145]
서적
日本における大学の自治と政策
現代史料出版
[146]
서적
大学の自治の歴史
https://ndlsearch.nd[...]
新日本出版社
[147]
웹사이트
(個人情報漏えい)早稲田大学江沢民講演会名簿提出事件
http://www.makino-la[...]
牧野総合法律事務所
2012-04-14
[148]
학술지
大学の自治
有斐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